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6

부동산 매수매도 타이밍 잡는 법 시장에 매도자(파란색)가 많을수록 파란색 선이 높은 수치를 보이고, 매수자(주황색)가 많을수록 오렌지색 선이 높은 수치를 보이게 된다. 매도자 : 부동산 파는 사람, 집 파는 사람 매수자: 부동산 사는 사람, 집 사는 사람 매수우위 지수(회색선)는 매도자와 매수자 지수를 비교해서 매수자 관점의 심리를 하나의 지수로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매수우위 지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들이 많다는 의미이고 집을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은 결국 가격이 상승하는 장이라고 할 수 있다. 파란선과 회색선이 교차하는 부분이 동그라미 부분 첫 번째 동그라미 이후 지그재그로 몇 번에 교차가 있은 후 부산의 아파트 가격 높은 상승률! 두 번째 동그라미 이후 매도자 극대화 매수자 심리 극소화 이후.. 2019. 3. 28.
아파트 1억 싸게 팝니다...미분양 폭탄 터진 지방 주택시장 2019.03.05 포스트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집값이 하락세에 접어들고 지방의 경우 미분양도 늘어나면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모습을 감췄던 할인 분양이 속속 나오고 있다. 특히 지역경제가 위축된 경남 김해, 창원 등과 물량폭탄으로 소화가 힘든 경기 평택, 화성, 용인, 입지와 교통이 좋지 않은 인천 영종 등에서 이러한 할인 분양 단지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 할인 분양은 수요자들에게 직접적으로 혜택이 돌아가기 때문에 미분양을 털어내기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집값 하락을 이끌 수 있고, 기존 분양가를 모두 내고 들어온 수분양자들의 반발이 크기 때문에 건설사 입장에서는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때문에 최근에는 중도금 무이자 또는 후불제, 베란다 확장 무료 등 우회적인 혜택으로 수요자들을 끌.. 2019. 3. 28.
빌라 전세집에서 내 집 마련까지...(feat.9살 아이 감동일기)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8117313&memberNo=2966116 빌라 전세집에서 내 집 마련까지..(feat. 9살 아이의 감동일기) [BY 월급쟁이 재테크 연구] 가정을 이루고 생활하기 위해 꼭 필요한 집! 저희 가정의 시작은 빌라 전세... m.post.naver.com 출처 : 월급쟁이 재테그 연구소 한마디 : 끊임없는 이사는 아이들에게도 스트레스가 될 수 있겠다. 2019. 3. 28.
전.월세 계약이 끝날 때 꼭 알아야 할 상식 5 1. 전.월셋집에 생긴 하자, 수리 비용은 누구 부담? 해당 주택이 지어진 지 10년 이상인 경우, 해당주택이나 그 주택 안에 있는 시설들이 고장 나면 집주인이 수리비용을 부담하는 경우가 많다. But, 세입자의 과실이 없는 경우에 한해서!(수리공을 불러 세입자의 과실 여부를 확인) 해당 주택을 지은 지 4~5년밖에 되지 않았는데, 해당 주택이나 그 안에 있는 시설들이 고장 났다면 세입자가 수리비용을 부담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현재 발생한 하자가 부실건축으로 인해 발생한 것인지, 세입자의 과실에 의한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2. 문제의 소지가 있는 부분은 특약사항에 기록해둬라! 수리와 관련된 분쟁을 막고 싶다면 계약 전에 분쟁이 생길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집주인과 서로 합의하고, 그.. 2019. 3. 28.
저렴한 실거주 최적의 입지, 산본신도시 1. 산본 신도시란 어떤 곳? 산본신도시는 분당, 일산, 중동, 평촌과 함께 계획된 1기 신도시입니다. 제대로 된 계획도시여서 아기자기한 느낌이 있고, 공원, 상원, 역 위치의 조화도 좋습니다. 또, 마을 단위로 설계된 다른 지역과 달리 단지 단위로 나뉘어 있고, 아파트 평형 분포도 고른 편입니다. 산본 신도시에서 10년이 안 된 유일한 새 아파트인 래미안하이어스(2010년 9월 입주)가 가장 인기 아파트이자 랜드마크 아파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래미안하이어스에서 1호선 금정역까지는 걸어서 15분 정도 걸리는데, 여기에는 GTX-C 노선의 역사도 들어설 예정이므로 미래가치는 더 높아질 예정입니다. 그래서인지 산본역 앞 세종주공 6단지(1994월 입주)에 많은 수요층이 몰렸습니다. 이 단지에는 리모델링 .. 2019. 3. 27.
의지가 약할수로 강제저축이 답: 다양한 사례 사례 1. 어머니가 강제저축시켜주심어머니가 3년 계 드는 셈치라면서 매월 140만원씩 달라고 하셨다.그리고 지난주에 계를 탄 돈이라며 5,000만월을 주셨다. 3년 만에 5,000만원 모은 비결1. 확실한 목표2. 목표를 위해 지출을 당연히 통제3. '강제저축' 환경을 만들기ex) 생활비로 100만원 지출하던 사람이 90만원으로 줄여도 다 살아지더라는 것.계는 위험하니 들지 말되, 적금을 마치 계처럼 중간에 해지하지 않고 지켜가면 됩니다. 사례 2. 언니부부가 돈을 빌려줘 보증금을 키워감적금통장 하나 없이 8년만에 2억 원33세 직장인 적금통장 하나도 없지만 직장생활 8년만에 2억 모음언니와 형부가 회사에 입사하자마자, 무이자로 돈을 빌려줄테니 사는 집을 월세에서 전세로 옮기라고 함보증금 1000에 월세.. 2019. 3. 21.